목양칼럼COLUMN

  • 홈 >
  • 설교SERMON >
  • 목양칼럼COLUMN
목양칼럼COLUMN
호모 심파티티쿠스 김정호 2024-03-28
  • 추천 0
  • 댓글 0
  • 조회 93

http://kgcg.onmam.com/bbs/bbsView/50/6377099

                        호모 심파티티쿠스(Homo Sympatheticus)

 

가장 안타깝지만 현실적인 문제 하나는 이웃에게 낯선 사람이 되는 것입니다. 같은 신앙 공동체 안에서 서로에게 낯선 사람이 된다면 외로움과 고통을 느낄 가능성이 높습니다. 누군가는 "사람은 고통스러울 때보다 외로울 고통을 느낀다" 말했습니다. '낯선 사람' 뜻하는 우리말 '타인' 첫째, 나와 다른 사람, 둘째, 밖에 있는 사람이라는 가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다른 사람을 삶에서 떼어내고 밖에 서는 것을 선택할 우리는 서로에게 낯선 사람이 되고 외톨이가 됩니다. 우리는 크고 의미 있고 친밀한 공동체의 일원이 되고 싶지만, 많은 사람이 모이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상처받을까 두려워합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마음속과 많은 사람들의 얼굴에서 고통스러운 외로움과 고립감을 봅니다. 중세 철학에서는 가지 유형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합니다. 하나는 그리스 스토아주의에서 유래한 호모 아파타티쿠스입니다. 철학은 인간이 자신의 열정과 감정을 조절하여 평온을 유지해야 한다고 가르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사람의 불행과 비극에 관여하는 것을 거부해야 합니다. 오히려 자신의 삶에 집중하여 세상의 많은 고민에서 벗어나 평온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런 삶은 이웃이 없는 삶입니다. 자기 중심적인 삶입니다. 다른 하나는 유대인 예언자 운동에서 비롯된 호모 심파티티쿠스입니다. 철학은 인간이 이웃의 삶에 깊이 관여할 의미와 목적을 찾을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삶의 철학을 가진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과 불행을 함께 느끼며 다른 사람을 위로하고 치유하기 위해 기꺼이 자신의 삶을 바칩니다. 그들은 다른 사람을 살리고 참된 삶을 살게 합니다. 지금 하나님께서 여러분에게 현재 어떤 삶을 살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어떤 대답을 하시겠습니까? 우리 크리스천들은 질문에 대한 답을 알고 있습니다: 바로 서로 사랑하는 공동체의 , 호모 심파티티쿠스입니다.

 

One of the most unfortunate and yet real problems is to become a stranger to neighbors. If we become strangers to each other in the same community of faith, then we are most likely to feel lonely and painful. Someone said, “Man feels more painful when he is in loneliness rather than in agony.” The Korean word “Ta-In,” which means “a stranger” implies two things: first, someone different from us, and second, someone standing outside of me. When we choose to move others from our lives and stand outside of them, we become strangers and loners to each other. Though we desire to be part of a larger, meaningful, and close community, we feel afraid of a large crowd or getting hurt by others. In modern days, we see painful loneliness and isolation in our hearts and on the faces of many people. Middle-age philosophy proposes two different types of lifestyles. The one is Homo Apatheticus, which came from Greek Stoicism. It teaches man should maintain his tranquility by controlling his passions and emotions. To do so, he should refuse to get involved in others’ misfortunes and tragedies. Rather, he should get focused on his own life to keep serene away from much ado of the world. This kind of lifestyle is without neighbors. It is a self-focused life. The other is Home Sympatheticus, which arose from the Jewish Prophetic Movement. It argues that man can find meaning and purpose as he gets deeply involved in his neighbors’ lives. Those who adopt this philosophy of life feel together pain and misfortune of others and willingly give their life to comfort and heal others. They make others alive so that they live a true life. Now, if God asks you which lifestyle you currently living, what would be your answer? We Christians know the answer to this question: Home Sympatheticus, which is a life of a community of mutual love.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부활절 김정호 2024.04.05 0 99
다음글 교회의 함께함 김정호 2024.03.18 0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