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유한 자의 행복 | 김정호 | 2022-06-14 | |||
|
|||||
|
온유한 자의 행복
찬양하기: 187장-비둘기같이 온유한
기도하기: 은혜로우신 하나님, 우리 온 가족의 아버지가 되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한자리에 모여 하나님을 예배케 하시니 감사합니다. 마음과 삶의 바쁨을 뒤로 하고 주님께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 주세요. 청아한 아침 이슬에 젖듯 우리의 영혼이 은혜의 이슬에 젖게 하소서.
말씀 배우기: 마태복음 5:5을 함께 읽습니다: 온유한 자는 복이 있나니 저희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임이요.
주제-그리스도는 온유하시기에 우리도 성령을 통하여 온유해야 합니다.
행복은 힘으로 차지하는 것이 아니라 성령의 열매인 온유함의 결실입니다. 하지만 많은 현대인들이 성공을 행복의 조건으로 삼고 그것을 얻기 위해 달려갑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더 많은 소유, 자유, 권리를 가지고도 여전히 행복하지 못합니다. 진정한 행복이란 무엇일까요? 예수님은 평화로운 관계로 이끄는 온유함이 행복이라고 말씀합니다. 세가지 관계를 통해 주님이 가르치신 온유함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첫째, 온유한 자는 자신과의 관계에서 절제합니다. 자기 절제는 야생마 같이 마구 날뛰는 내면의 힘을 길들여 통제하는 것입니다. 인간의 공격적이고 포악한 성질이 성령의 다스림 아래 있을 때 맺어지는 열매입니다. 온유한 자는 성령의 통제 아래 자신을 지나치게 낮추거나 높이는 것을 거부하며 겸손합니다. 자기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지음 받은 존귀한 존재임을 겸손히 받아드립니다. 마음의 평정을 지키며 평안을 누립니다. 이웃과 하나님과의 관계도 원만하고 행복합니다.
둘째, 온유한 자는 이웃과의 관계에서 온화합니다. 성경에서 대표적으로 온유한 인물은 모세입니다. 한때는 히브리 노예를 핍박하는 애굽인의 불의함을 보고 그를 죽인 불 같은 성격의 소유자였습니다. 하지만 광야 40년의 훈련을 통하여 그는 낮아지고 통제되었습니다. 광야 생활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불평하는 백성들을 온유함으로 가르치고 인도합니다. 형제 자매인 아론과 미리암이 하나님이 세워 주신 자신의 권위에 도전할 때도 분노로 폭발하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 모든 것을 맡길 때 하나님은 모세를 가장 온유한 종이라 높이시며 문제를 해결해 주십니다. 비방이나 분노로 얼룩진 인간 관계를 온화함으로 대응하면 나머지는 하나님이 맡아 주십니다.
셋째, 온유한 자는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순종합니다. 이는 하나님의 법, 곧 그분의 뜻에 자신의 뜻을 맞추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뜻을 불순종하면서 그분과 바른 관계를 맺고 행복 하기란 불가능 합니다. 참된 행복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거룩함에서 옵니다. 예수님은 온전히 행복한 분이셨습니다. 하나님의 뜻을 완전하게 이루셨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온유한 자가 땅을 기업으로 받을 것이라 말씀하십니다. 온유한 자는 하나님 아버지의 상속자가 된다는 것입니다. “땅”은 하나님의 약속을 이루는 곳입니다. 온유한 자는 이 땅에서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는 것을 경험할 것이며 장차 그의 영원한 나라를 상속할 것입니다. 그래서 온유한 자는 아무 것도 없는 자와 같지만 모든 것을 소유한 자입니다(고후 6:10).
온유함의 본이신 예수님은 말씀합니다: “나는 마음이 온유하고 겸손하니 나의 멍에를 메고 내게 배우라 그러면 너희 마음이 쉼을 얻으리니”(마 11:29). 온유한 자는 주님의 안식을 누리는 행복자입니다. 자신과 이웃과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즐거운 화평을 맛보며 기쁨으로 살아갑니다.
적용 나누기 1. 여러분은 자신을 온유하게 용납하고 존중함으로 대하십니까 아니면 자기 비하, 학대, 높임, 자만으로 대하십니까? 바로잡아야 할 자기에 대한 그릇된 생각이나 태도가 있다면 어떤 것인지 나누어 보세요. 2. 여러분에게 실수하고 적대시하는 이웃을 어떻게 대하십니까? 현재, 관계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웃이 있다면 어떻게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지 생각해 보세요. 3. 여러분은 순종할 때와 불순종할 때 언제 행복하십니까? 온유함으로 경험해 본 관계의 복이 있다면 어떤 것인지 나누어 보세요.
감사 나누기: 하나님께 감사드릴 것이 있으면 나누어 보세요. 한 주간 예수님과 어떤 사귐 가운데 살았는지 나누어 보세요.
기도하기: 허물 많은 우리를 늘 온유함으로 대해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감사드립니다. 그 사랑을 잊고 여러 관계에서 온유하지 못했음을 고백합니다. 힘으로 관계를 좌지우지하려는 마음을 용서해 주세요. 성령의 도우심으로 온유하신 예수님을 닮을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온유함의 행복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릴 수 있기를 기도합니다.
주기도문으로 마치기
Happy are the meek!
Singing: Hymn 187-Come, gracious Spirit!
Opening Prayer: Gracious God, we are so grateful that you are the Father of our whole family. We are so thankful that we have gotten together to worship you. Please, help us focus on you by leaving busyness of heart and life behind. Please, drench our souls with the dew of grace like morning dew
Lesson: Read Matt. 5:5 together: Blessed are the meek, for they shall inherit the earth.
Theme: Because Christ is meek, we should be meek through the Spirit.
Happiness is not something we achieve by power, but an outcome of meekness the fruit of the Spirit. But many moderns take success as a way to happiness and strive to attain it. Having much more possessions, freedom, and rights than the previous generations, they are ironically less happy. What is true happiness? Jesus regards meekness leading to peaceful relations as happiness. Let’s look into what happiness is in terms of three kinds of relationship.
First, the meek are self-disciplinary in relation to themselves. Self-discipline puts under control inner power, which is like a wild, unbroken mustang. When man’s aggressive and violent nature is under the control of the Holy Spirit, self-discipline is borne as a fruit. The meek under the control of the Spirit are humble, rejecting self-depreciation or self-exaltation. They humbly acknowledge that they are made precious bearers of God’s image. They enjoy peace, keeping composure of mind. They have harmonious relationships with God and neighbor.
Second, the meek are mild in relation to neighbors. Moses is regarded as the meekest person in the Bible. At one time, he was a man of fiery personality, who saw an Egyptian unjustly beating a Hebrew slave and struck him down. But he was humbled and disciplined through the forty-year wilderness training. He taught and led with meekness the people of Israel continuously complaining through the wilderness wanderings. When his siblings Aaron and Miriam challenged his God-given authority, he didn’t blow up in anger. Instead, he committed all things to God. And God exalted him as his meekest servant and resolved the problem. God takes care of the rest if we commit to God 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tainted with slander and anger.
Third, the meek are obedient in relation to God. Meekness here refers to adjusting one’s will to the law of God, that is, the will of God. It is impossible to have a right relation to God and attain happiness by disobeying the will of God. True happiness arises from holiness that obeys God’s will. Jesus was perfectly happy. It is because He perfectly fulfilled will of His Father.
Jesus says that the meek shall inherit the earth. He is saying here that the meek shall be heirs of God the Father. “The earth” here signifies a place where God’s promises are fulfilled. The meek shall experience fulfilment of God’s promises on earth and inherit the eternal kingdom of God in the future. So, they own nothing and yet have everything (2 Cor. 6:10).
Jesus, the epitome of meekness, says: “Take my yoke upon you, and learn from me, for I am gentle and lowly in heart, and you will find rest for your souls” (Matt. 11:29). The meek are truly happy, enjoying the Lord’s rest. They live with joy while tasting sweet peace in relation to themselves, neighbors, and God.
Application 1. Do you tolerate and treat yourself with meekness or treat yourself with self-disparagement, abuse, exaltation, or conceit? If you have any wrong attitudes toward yourself that you should correct, please open them up to share with one another. 2. How do you treat your neighbors who make mistakes and remain hostile to you? If you have anyone with whom you currently have a rocky relationship, please, think how you can improve your relationship with that person. 3. In which are you happy, in obeying God or disobeying God? If you have any blessings you have experienced in y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as a result of your meekness, please, talk about them with one another. Praise Sharing: If you have any praise, please share it with the family. How have you walked with Jesus today?
Closing Prayer: We give thanks to you, O God, for your love that you have always treated us with meekness despite our transgressions. We confess that we have failed to be meek in our relationships by being forgetful of your love. Please, forgive us the sin that we attempt to control our relationships by power. Please, help us to be like Christ with the help of the Spirit. We pray that we will glorify God through our happiness of meekness.
Closing with the Lord’s Prayer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