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그룹STUDY

  • 홈 >
  • 가정교회CELL >
  • 셀그룹STUDY
셀그룹STUDY
Repentance of the heart! 운영자 2019-03-28
  • 추천 0
  • 댓글 0
  • 조회 288

http://kgcg.onmam.com/bbs/bbsView/63/5562998

Repentance of the heart!

 

김정호목사 

Dr. Jung-Ho Kim, Pastor

 

 12 여호와의 말씀에 너희는 이제라도 금식하며 울며 애통하고 마음을 다하여 내게로 돌아오라 하셨나니 13 너희는 옷을 찢지 말고 마음을 찢고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올찌어다 그는 은혜로우시며 자비로우시며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인애가 크시사 뜻을 돌이켜 재앙을 내리지 아니하시나니 14 주께서 혹시 마음과 뜻을 돌이키시고 뒤에 복을 끼치사 너희 하나님 여호와께 소제와 전제를 드리게 하지 아니하실는지 누가 알겠느냐(요엘 2:12-14)

 

주제: 하나님은 사랑이시기에 우리는 하나님께로 돌아와야 한다.

 

서론

회개는 축복입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떠난 인간들에게 회복의 길을 제시해 주셨습니다. 길이 바로 회개입니다. 죄로 눌린 영혼이 평안의 자유함을 얻고 하나님과 회복의 관계에 들어가는 길은 회개입니다. 그렇지만 우리는 회개가 잊혀진 세상과 교회에서 살고 있습니다. 세상을 향하여 죄로부터 돌이켜 하나님께 나아오라 메시지가 실종되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구원받았다고 자부하는 교회에서 , 죄인, 회개라는 단어가 사라지고 있습니다. 강단에서는 인간의 죄성, 원죄를 부인하면서 인간의 잠재성을 개발하여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을 살도록 권고하는 메시지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서로 사랑하며 도덕적으로 선한 삶을 살라고 격려하는 메시지가 많습니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죄인으로 태어난다는 사실입니다. 인정하든 인정치 않든 이것은 사실입니다. 사람들이 죄를 범하여서 죄인이 것이 아닙니다. 죄인으로 태어났기 때문에 죄를 짓고 살아가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공의는 이러한 죄인을 심판하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심판을 피할 있는 길은 회개입니다. 요엘 선지자도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메뚜기 떼의 공격으로 경제는 무너졌습니다. 여호와의 심판의 날이 이를 것이라고 외칩니다. 회개하고 돌이킨 자에게는 회복을 그렇지 못한 자에게는 심판이 있다고 선포합니다. 회개를 촉구하는 하나님의 마음은 아버지의 마음입니다. 그것은 사랑입니다. 이러한 사랑에 대한 응답으로 죄로부터 돌이켜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입니다. 회개는 마음으로 하나님께 돌아가는 것입니다. 오늘은 이점을 살펴보려 합니다.                        

 

1. 배울 내용

a. 회개의 때는 바로 지금입니다

회개는 죄를 깨닫는 순간, 회개의 촉구를 듣는 순간에 즉시로 실시해야 합니다. 12절에서 번째 등장하는 단어 지금이라도”(And yet now). 요엘 선지자는 1-2장에서 여호와의 날에 대하여 선포합니다. 날은 회개치 않는 자들에게 심판이 것입니다. 회개를 촉구하는 메시지를 선포하기에 앞서 이제라도회개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이제 회개를 미루지 말고 지금 당장이라도 하면 하나님께서 심판을 돌이키실 것이라는 말씀입니다. 실로 지금은 은혜 받을 만한 때입니다. 죄에서 돌이키라는 말씀을 듣고 내일로 미루는 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미루려 경향이 있습니다. 내일로 미루게 되면 회개해야 하는 날이 하루 늘어가게 되고 회개할 날이 하루 줄게 됩니다. “이제라도라는 말은 늦기 전에 당장 회개하라는 말씀입니다. 회개의 긴박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촉구의 배후에는 진정한 회개를 미루고 있는 현실을 고발하고 있는 것입니다. 요엘 선지자의 때나 예수님의 때나 오늘날에도 회개의 메시지는 인기가 없습니다. 이유는 죄가 드러나는 것을 우리는 원치 않기때문입니다. 자신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알리고 싶지 않습니다. 감추고 축소하고 싶은 사람의 성향 때문입니다. 사회적인 범죄를 저지른 자에게 범죄 사실을 실토하라고 하면 처음부터 고백하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끝까지 자신의 결백을 주장하지만 결정적인 증거를 제시할 때에야 자신의 범죄를 마지못해 고백합니다. 때에도 자신의 범죄를 축소하기 위하여 이유를 늘어 놓기 쉽습니다. 이는 근본적으로 우리를 의로운 자로 보이고 싶어하는 속성 때문일 것입니다. 오늘날 교회의 예배는 축제 분위기 입니다. 앞에서 찬양팀이 공연을 합니다. 빠른 비트에 몸을 흔들며 흥겹게 찬양합니다. 스트레스를 날려버릴 정도로 찬양에 몰입합니다. 그런데 정말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인지 자기 만족을 위하여 찬양하는 것인지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이런 공연, 축제 분위기의 예배는 사람들이 북적이지만 죄를 슬퍼하고 애통해 하는 예배는 거의 없습니다. 어찌된 일일까요? 축제 분위기의 예배에는 죄없는 사람들만이 있기 때문일까요? 세상에도, 교회안에도 죄는 있습니다. 그래서 죄인들입니다. 비록 우리가 구원을 받았다해도 여전히 우리는 죄를 짓고 살아갑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즉각적으로 회개하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죄를 미루면 죄가 쌓이고 하나님의 징계를 자초하는 것입니다. 매일, 매순간 죄가 마음에 들어오면 그것을 고백하고 쫒아내야 합니다. 회개는 평생동안 지속해야 합니다. 모든 예배에서, 삶의 모든 부분에서 우리는 하나님께 즉각적으로 회개해야 합니다. 이러한 거룩한 습관을 통하여 죄로부터 돌이켜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이 회개입니다.        

 

b. 회개의 최종 목적지는 하나님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은 당장 회개를 촉구하실 뿐만 아니라 자신에게로 돌아오라고 초청하십니다. 자신에게로 돌아오라는 말씀은 백성이 하나님으로부터 떠나갔다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죄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보여주는 명령입니다. 죄는 하나님을 떠나서 살아가는 것입니다. 하나님과 함께 살아가는 삶이 신자에겐 목적입니다. 그런데 생명의 주인을 떠나 홀로 자신의 삶을 자신의 뜻대로 살려고 하는 것이 바로 죄의 본질 교만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죄의 유혹에 넘어가 살아가는 백성들에게 생명의 주인에게로 돌아가는 것은 하나님 아버지의 초청입니다. 탕자는 자신에게로 돌아올 재산을 챙겨 타지로 떠나 살았습니다. 이것이 죄의 모습입니다. 아버지의 집을 떠나면 자유를 만끽하고 마음대로 눈치보지 않고 신나는 삶을 있다고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의 최후는 돼지 우리에서 사는 것이었습니다. 돼지와 먹는 것을 놓고 경쟁해야 하는 비참한 생활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의 집에서 종들도 그것보다는 훨씬 나은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을 기억했습니다. 자신이 아버지께 죄를 지었다는 사실을 깨닫고 발걸음을 집으로 돌이킵니다. 이것이 회개자의 모습입니다. 여호와 하나님이 자신을 떠나 가운데 비참한 삶을 살고 있는 죄인들을 향하여 자신에게로 돌아오라고 하는 말씀은 사랑의 촉구입니다. 이러한 말씀을 저버리는 것은 하나님의 사랑을 저버리는 것입니다. 탕자는 돌아갈 곳이 있었습니다. 그것은 아버지의 품이었습니다. 여호와의 내게로 돌아오라 말씀은 회개의 최종 목적지가 죄가 아니라 하나님이라는 점을 보여줍니다. 많은 이들이 회개할 자신의 죄에만 초점을 맞춥니다. 죄만 생각하다가 절망에 빠집니다. 감당할 없는 죄책감에 자살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죄만을 생각하며 참된 회개가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가룟 유다는 자신의 죄에 대하여 후회는 했지만 자신이 누구에게 죄를 지었는지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만약 하나님 아버지의 사랑을 생각하고 그분의 용서를 구했다면 그는 참된 회개를 통하여 하나님께로 나아갔을 것입니다. 우리의 회개에서도 회개를 통하여 우리가 나아가야 분이 하나님이라는 점을 망각해서는 안됩니다. 회개할 때도 하나님 아버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그분의 거룩함과 사랑을 생각하며 우리가 얼마나 많이 떠나 있는지를 고백하고 돌이켜야 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최종 목적지는 다시 죄를 범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회복된 관계가 되어야 합니다. 회개하고도 죄를 범하는 것은 하나님께로 돌아간 것이 아닙니다. 참된 회개는 우리를 하나님과의 바른 관계, 하나님 그분께로 우리의 마음을 돌아가게합니다. 그분과 함께 하는 , 그분을 기쁘시게 하는 , 그분을 영화롭게 하는 삶이 회개의 결과로 이어져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회개한 후에 살펴보아야 점은 죄로부터 돌이켜 하나님과 함께 하는 삶을 살고 있는가 입니다. 이점을 살펴보며 회개의 방향을 바로 잡지 않으면 오히려 그릇된, 거짓 회개로 죄를 더할 뿐입니다. 회개는 하나님께로 돌아가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c. 회개는 마음에서 일어납니다

회개는 마음에서 시작합니다. 말은 성령의 역사없이도 우리 스스로 참된 회개를 있다는 뜻이 아닙니다. 진정한 회개는 마음을 돌이키며 시작된다는 뜻입니다. 마음의 변화가 없이는 생활의 변화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성령께서는 우리의 마음을 만져주십니다. 그래서 우리로 죄와 비참함을 실제로 깨닫게 주십니다. 죄를 죄로 보게 주십니다. 죄의 비참함을 경험하게 주십니다. 그래서 죄에 머물고자 하는 마음을 돌이키게 주십니다. 그러나 형식적인 회개를 하는 사람들은 죄와 비참함을 진정한 의미에서 깨닫지 못합니다. 그저 하나님의 심판을 모면하려고 겉으로만 회개하는 하는 것입니다. 진심이 결여된 회개를 하나님이 모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얼마나 어리석은 것이겠습니까! 우리의 마음을 지으신 분은 우리 마음 가장 깊은 곳에서 일어나는 모든 움직임을 보고 계십니다. 크게 울고, 옷을 찢고, 재를 머리에 뿌리고, 금식하며 하나님께 회개하는 해도 진심으로 죄를 슬퍼하고 미워하며 하나님의 거룩함을 사모하지 않는다면 진정한 회개는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하나님은 진심을 반영하는 종교적 형식인 금식과 울음과 애통과 더불어 마음을 다하여 자신에게로 돌아오라고 하신 것입니다. 종교적인 형식이 진정한 마음을 반영하는 것일 그것은 참된 것입니다. 마음이 빠진 형식은 죽은 것입니다. 죽은 회개는 죄입니다. 참된 회개만이 길입니다. 음식을 금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구하는 금식은 하나님이 받아주십니다. 죄를 슬퍼하는 마음을 하나님은 귀하게 여기십니다. 사랑하는 자의 죽음 앞에서 애통해 하듯, 자신의 죄를  애통해 하는 마음을 하나님은 위로하십니다. 이러한 마음의 회개는 반드시 하나님의 용서와 위로와 평강을 가져다 줍니다. 그런데 문제는 마음이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어떻게 세상과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이 갑자기 하나님과 이웃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변하겠습니까? 오직 성령께서 우리의 죄악됨과 하나님의 거룩을 보여주실 목이 곧은 마음이 움직이게 됩니다. 그러므로 참된 회개를 하려면 자신의 죄에 집착하기 보단 성령님을 구해야 합니다. 하나님께 초점을 맞추어야 합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구속의 은혜를 기억해야 합니다. 기도 가운데 하나님을 찾아야 합니다. 그래서 회개는 단순히 죄를 고백하는 이상입니다. 하나님을 진심으로 구하지 않으면 참된 회개가 이루어지 않습니다. 회개는 하나님을 구하며 그분께로 돌아가는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2. 나눔과 적용의 내용

a. 하나님께 감사할 내용을 가지씩 나누어 보세요. 주간 예수님과 어떤 사귐 가운데 살았는지 나누어 보세요.

b. 여러분 당장 회개해야 가장 본질적인 죄는 무엇입니까? 죄를 고백하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사람과 나누지 말고 각자가 마음으로 그것을 고백하는 시간을 가져 보세요.  

c. 회개한 후에 여러분이 영적으로 어디에 있는지를 체크해 보세요. 동일한 죄를 반복하고 있는지 아니면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는 생활을 하고 있는지를 돌아보세요. 회개의 최종 목적지는 죄가 아니라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통해서 여러분은 무엇을 깨닫습니까? 함께 나누어 보세요.

d. 여러번 회개의 메시지를 들으며 회개하고 있습니까? 아니면 회개를 미루고 있습니까? 여러분이 회개를 하지 않는 이유가 죄가 없어서 입니까? 아니면 하나님의 명령을 듣기 싫어서 입니까? 진정한 회개를 위해 주님의 은혜를 구해 보세요.

 

3.      기도할 내용

a. 한국과 미국에 있는 교회들이 진정한 부흥을 경험하고 회복의 역사가 일어나도록 기도해 주세요.

b. 우리 모두가 하나님을 향한 열정을 회복하도록 기도해 주세요. 기도하고 전도하는 교회가 되도록 기도해 주세요. 영혼이라도 주님께로 이끌 있도록 기도해 주세요. 목장 모임이 부흥하도록 기도해 주세요.

c. 교회의 젊은이들이 미래의 지도자로 훈련되고 세워지도록 기도해 주세요

d. 새로운 직장, 취업을 위하여 기도하는 분들을 위하여 중보해 주세요.

e. 교회의 영적, 재정적 필요를 채워주시도록 기도해 주세요.

f. 2019우리를 새롭게 하소서 제목으로 기도해 주세요.

g. 교회에 함께 일할 있는 동역자들을 보내주시도록 기도해 주세요.

h. 성경번역 박혜리 선교사님, 터키의 소방은 선교사님(은석이 아버지), 필리핀의 김일로 선교사님(예능이 아버지), 라오스의 영상선교사님(신혜 아버지) 위하여 기도해 주세요.

i. 서로 기도 내용을 나누고 중보해 주세요.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Rely on God’s Love! 운영자 2019.04.30 0 213
다음글 Hope in the midst of grief 운영자 2019.02.06 0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