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를 살리는 화해 | 김정호 | 2022-06-27 | |||
|
|||||
관계를 살리는 화해
찬양하기: 찬송가 220장-사랑하는 주님 앞에
기도하기: 저희로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하는 가정 삼아 주시니 감사합니다. 진정과 신령으로 예배할 수 있도록 저희의 마음에 하늘의 은혜를 내려 주소서.
말씀 배우기: 마태복음 5:21-26을 함께 읽습니다- 21 옛 사람에게 말한 바 살인치 말라 누구든지 살인하면 심판을 받게 되리라 하였다는 것을 너희가 들었으나 22 나는 너희에게 이르노니 형제에게 노하는 자마다 심판을 받게 되고 형제를 대하여 라가 라 하는 자는 공회에 잡히게 되고 미련한 놈이라 하는 자는 지옥 불에 들어가게 되리라 23 그러므로 예물을 제단에 드리다가 거기서 네 형제에게 원망 들을 만한 일이 있는 줄 생각나거든 24 예물을 제단 앞에 두고 먼저 가서 형제와 화목하고 그 후에 와서 예물을 드리라 25 너를 송사하는 자와 함께 길에 있을 때에 급히 사화하라 그 송사하는 자가 너를 재판관에게 내어주고 재판관이 관예에게 내어주어 옥에 가둘까 염려하라 26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네가 호리라도 남김이 없이 다 갚기 전에는 결단코 거기서 나오지 못하리라.
주제: 참된 제자는 분노가 아닌 화해의 마음을 품고 살아야 합니다.
오늘날 신문의 헤드라인은 분노가 유발한 연쇄 살인, 대규모 총격 살상, 전쟁, 법정 투쟁, 총파업, 정치적 갈등 등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뚜껑이 열린다”, “열 받게 하네”, “죽고 싶어?” 등을 일상 대화에서 흔하게 말합니다. 정서와 대화에 분노가 깊이 배어 있음을 보여줍니다. 오늘은 분노는 어떤 것이며 어떻게 극복할 수 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첫째, 분노는 상처를 주는 자에 대한 역-반응입니다. 자존심을 건드리고 인격을 무시하면 하면 분노합니다. “너는 태어나지 말았어야 했다. 너 때문에 내 인생이 망가졌다” 혹은 “당신 만나서 내 인생이 이렇게 됐어. 우리 서로 만나지 말았어야 했어” 등등의 말은 분노를 초래합니다. 상대를 하나님의 형상으로 보긴 보다는 괴물로 보는 것입니다.
이러한 말들은 인격을 살해하는 언어 폭력입니다. 언어 폭력은 물리적 폭력을 수반합니다. 마음의 분노는 이렇게 폭력적이기에 살인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상처 받으면 공격성이 폭발합니다. 그러하기에 분노를 절제하여 화가 될 일을 막는 것이 지혜입니다. 분노를 초래하고 관계를 파괴하는 말을 대화에서 추방하는 것이 지혜입니다.
둘째, 화해는 분노의 마음을 치유합니다. 예수님은 분노를 해결하려는 모든 노력을 기울이라고 명하십니다. 우리의 잘못으로 인해 분노한 형제는 먼저 우리에게 찾아오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먼저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합니다. 예수님은 예배 중이라도 가서 화해하라고 말씀하실 정도입니다. 미루지 말고 즉각적으로 행동할 것을 주문하십니다.
또한 관계를 분노로 치닫게 하는 모든 것을 철저하게 해결하라고 명하십니다. 화해하려 할 때 “나도 잘못이 있지만 당신도 잘못이 있지!” 라고하면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자신을 낮추고 잘못을 고백하며 용서를 구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진정한 겸손이 이러한 용기를 줍니다.
예수님은 우리 죄를 위하여 자신을 화목 제물로 드리셨습니다(롬 3:25). 우리 죄에 대한 하나님의 진노를 받으시고 우리를 하나님과 화목케 하셨습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사랑입니다. 우리는 그 사랑의 은혜로 하나님의 자녀가 된 것입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과 화목케 되었기에 그분과 평화를 누려야 합니다. 이러한 평화는 자신과 이웃과의 평화로 나타나야 합니다. 자신이나 이웃과의 관계에서 분노가 초래한 불화가 있다면 주님의 십자가 사랑을 의지하여 화해의 손을 내밀어야 합니다. 이것은 우리의 관계를 치유하고 우리의 마음을 치유합니다.
하지만 분노하며 이웃을 상하게 하는 것은 하나님과의 사이에 벽을 쌓는 일입니다. 미움과 분노는 영적 살인입니다. 주님의 능하신 은혜로 이웃과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가 분노를 극복합니다. 사도 바울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이 권고합니다: “분을 내어도 죄를 짓지 말며 해가 지도록 분을 품지 말고 마귀로 틈을 타지 못하게 하라”(엡 4:26-27).
적용 나누기: 1. 분노를 가라앉히기 위하여 어떤 조치를 취하십니까? 화해를 가로막는 것이 있다면 무엇입니까? 2. 미움과 분노로 멀어진 사람과 화해하려고 어떤 노력을 해 보셨습니까? 주님의 십자가 사랑에서 화해하려는 겸손한 마음과 용기를 얻으십니까 아니면 아무것도 얻지 못하십니까? 3. 미움과 분노로 관계가 멀어진 이웃들의 상처 받은 마음에 대하여 생각해 보세요. 미움과 분노를 회개하고 주님의 사랑을 품을 수 있도록 기도해 보세요.
감사 나누기: 하나님께 감사드릴 것이 있으면 나누어 보세요. 예수님과 어떤 사귐 가운데 살았는지 나누어 보세요.
기도하기: 하나님, 저희가 여전히 미움과 분노를 품고 화해하지 못하는 것을 용서해 주세요. 저희가 상처를 준 사람들의 아픔을 이해하게 해주소서. 그 상처 받은 자들을 치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저희로 화해의 손을 내밀어서 아픔과 갈등을 끝낼 수 있는 겸손과 용기를 허락해 주세요.
주기도문으로 마치기
Singing: Hymn 220-In one fraternal bond of love
Opening Prayer: We give thanks to you, O God, that you have made us a family that serves and worships you. Grant us the grace of heaven wherein we may worship you in truth and spirit.
Lesson: Read Matt. 5:21-26 together: 21 "You have heard that it was said to those of old, 'You shall not murder; and whoever murders will be liable to judgment.' 22 But I say to you that everyone who is angry with his brother will be liable to judgment; whoever insults his brother will be liable to the council; and whoever says, 'You fool!' will be liable to the hell of fire. 23 So if you are offering your gift at the altar and there remember that your brother has something against you, 24 leave your gift there before the altar and go. First be reconciled to your brother, and then come and offer your gift. 25 Come to terms quickly with your accuser while you are going with him to court, lest your accuser hand you over to the judge, and the judge to the guard, and you be put in prison. 26 Truly, I say to you, you will never get out until you have paid the last penny. Theme: True disciples should conduct their lives with the heart of reconciliation rather than that of resentment.
Newspaper headlines are covered with anger-triggered cases such as serial killings, mass shootings, wars, legal battles, general strikes, political conflicts, etc. People frequently uses the following expressions in daily conversation: “I blew my top”, “You got me infuriated”, “You are dead meat”, and the like. Such expressions show anger is deeply ingrained in daily sentiment and conversation. Today, we shall look into what resentment is and how to overcome it.
First, resentment is a reaction to those hurting us. If someone hurts our pride and disparage our character, we furiously react to them. “You should have never been born. My life is ruined because of you” or “My life has been a mess since I met you. We should never have met with each other” These expressions trigger rage. When we pour out such expressions, we are likely to see our listeners not as God’s image-bearers, but some kinds of monsters.
Such words are character-assassinating violence. Verbal violence is often followed by physical violence. Resentment of the heart is so furious that it may bring about murder. When we get hurt, we may get aggressive. We should be wise enough to control our anger to avoid something woeful. We had better be wise enough to banish anger-causing and destructive words from our conversations.
Second, reconciliation is a remedy to resentment. Jesus tells us that we should every effort to resolve our anger issue. Those we provoke by our faults won’t come to visit us. So, we must first extend our hand of reconciliation to them. Jesus commands us to do it even in the midst of worship. He wants us to take an immediate action without delay.
Also, Jesus orders us to thoroughly resolve all things that plunge our relationships with others into rage. When we attempt to make a reconciliation, we should not say, “I know I have done amiss, but you also did amiss.” If we say so, we may aggravate the matter. We need the courage to humble ourselves, confess our wrongdoings, and ask for forgiveness. True humility gives us such courage.
Jesus gave Himself as a propitiation for our sin (Rom. 3:25). He took the wrath of God for our sin and reconciled us to God. This is the love of God. By the grace of this love, we have become children of God. Therefore, we must enjoy peace with God because we are reconciled to Him. Such peace is to be manifested in peace with self and neighbor. If we have disharmony with self and neighbor caused by resentment, we should extend the hand of reconciliation to them through the love of the Lord on the cross. In doing so, we find a healing in our relationships and our hearts as well.
But we put a wall between God and ourselves if we resent our neighbors and hurt them. Hating and resenting are regarded as spiritual murder. Those who love God and neighbor with the Lord’s enabling grace overcome resentment. Paul exhorts us this way: “Be angry and do not sin; do not let the sun go down on your anger, and give no opportunity to the devil” (Eph. 4:26-27).
Application 1. What measures do you take to alleviate your resentment? What prevents you from making reconciliation with others? 2. What efforts have you made in order to make reconciliation with those estranged by hatred and resentment? Do you find humility and courage for reconciliation in the love of the Lord on the cross or do you find nothing there? 3. Please, think about the wounded hearts of your neighbors estranged by your hatred and anger. Please, pray that you repent of your hatred and anger and have the love of the Lord in your heart. Praise Sharing: If you have any praise, please share it with the family. How have you walked with Jesus today?
Closing Prayer: Please, O God, forgive us our harboring hatred and resentment unwilling to make reconciliation. Help us understand and heal the wounded hearts of those we have hurt. Please, grant us humility and courage to extend a hand of fellowship to them and terminate the hurts and conflicts.
Closing with the Lord’s Prayer
|
댓글 0